Assemble every kind of object that can be wielded. Even the linear shape of a baseball bat, so well gripped in the hand, calls to mind the hitter’s stance, the exhilarating sound of the ball being struck over the fence. As schoolchildren, I suspect every one of us saw a mop wound up at the end of a corridor and thought it looked like a person with long hair. Think of the magic wand used by cartoon characters in their transformations, a staff bearing mysterious powers like the swords of ancient kings, or a religious flock following the censer as a priest walks before them carrying a cross. Imagine flags—flags waved more vigorously than ever before, the new season flags now awaiting their rollout, the movements of demonstrators walking forward as they wave their flags up and down. The sounds of these rods being wielded combines with the commotion and slogans and horn blasts and energy that surround them, generating a boisterous rhythm. Swing!
Swinging is an installation exhibition made up of sculptures derived from various rod-shaped items, with fabric, clay, and other materials used to transform the individual stories recalled by those objects into “characters.” Within individual sculptures, the action associated with the object’s ordinary function is combined with its meaning; together, the assembling of these sculptures turns the gallery as a whole into a dramatic setting of incidents and movement. The word “movement” here is used in both of its senses. First, there is the physical movement through which an object changes its spatial position over time. But rather than the appearance of actual movement here, one is guided to examine the possible movements called to mind by the objects’ functions. In other words, even when no object is moving or shaking within the gallery, we come to view the objects as being in motion, or preparing for motion, due to the ways in which they are combined or positioned and our inferences and associations with their basic functions. The second meaning of “movement” here is an effort or activity intended to achieve some goal—collective action to express views and effect change. The artist’s notes explain: “A movement is the minimal starting point for changing something. I am attempting to show a situation where everything is transformed, distorted, yet diligently moving, each thing proceeding repeatedly in its own direction.” As this indicates, the individual pieces each possess their own “swing,” yet they also dance together as a single crowd—to say something, or to change something.
The word “swing” is also associated with swing jazz. A performing style popular in New York and other locales during the 1930s and 1940s, swing jazz is a cheerful, energetic form of dance music. The music itself encourages people with a sense of rhythm that moves a bit behind or ahead of the beat. But the vogue for this bright and enjoyable style of music overlapped historically with a very dark time. In 1930s Germany, teenagers who liked to listen to swing jazz were known as “swing kids.” Branded as a degenerate and immoral art form by the Nazi government of the time, swing provided these young people with an outlet from societal oppression and became a symbol of rebellion. Swing kids were sometimes given harsh prison sentences, accused of crimes like aiding and abetting of anti-Nazi organizations for enjoying the music of the “enemy.” Illustrating the darkness behind this bright music and an opposing force that drew on that energy, the swing kids story offers a reference point that meets both the definitions of the word “movement” that are pursued in this exhibition.
The elements used to convert the movement of individual objects into a collective movement for change are assembled ranks and a parade. The basic choreography for the works in the exhibition venue is a kind of parade, with each of them proceeding in the same direction. They condense their energy with the directionality of ranks, as if massing into a flood pouring in one direction. The ranks in the parade are divided into three main sections. The first of them has a Pioneer standing at the very front, with a red left atrium in shape of the cross, a right atrium with a globe positioned in the middle, and a formation of 11 geese in a V-shape on either side. The Pioneer is the parade’s leader, while the left and right atria are engines adding propulsion and vitality to it. The formation of 11 geese serves to guard the paradise at its edge, to point out its direction and guide it on its path. The formation is basically a collection of umbrella stands and long rods, each with different decorative elements and colors through their individual personalities can be inferred. The center of the ranks is occupied by a big band. Typically used to refer to an orchestra with ten or members that plays swing jazz, the term stresses the linkage between the exhibition and the swing genre. Coupled with this are objects representing the musical intstruments used to play swing music – in particular, the main big band instruments like brass, drums, the viola, and the double bass – and the swing music (composed by Daham Park) that can be heard playing in the exhibition setting. The wheeled frame that makes up the big band takes the form of a chariot at the parade’s center, with coloring that calls to mind a funeral bier. The last section consists of the other scattered works, which mainly reflect the specific reason for the parade: messages about the individual character’s demands for improvements to the world. A powerful message of prohibition is sent by the two rods in an “X” shape that block the firmly closed door toward which the parade ranks are proceeding. This results in a moment of tension, as we wonder whether the parade members will be able to safely break through to the other side.
Beyond the commonality of having originated as rodlike objects, another feature common to all these works in terms of their formal characteristics is their use of chiefly pastel tones. In particular, soft and sweet-seeming colors using clay are employed, occasionally producing odd shapes as they are twisted and massed together with variegated materials. The contrast between softness of color and oddity of form results in an odd sense of distance from the object that guides one away from conventional interpretations of meaning. Also employed are objects like flowers and ribbons, along with craft methods like stitching and plaiting; the personal touch of kneading and bindings results in shapes that are free and abandoned. The combination of nightmarish candy colors and forms has the effect of subverting the conventional “feminine” codes often called to mind by the objects used.
A hint as to whom this paradise is for can be gleaned through the messages of the individual sculptures—in the form of examining how the codes of everyday objects are inverted through the work’s coloring, materials, and shapes. Each imbued with a kind of personality or life, the objects embody specific characters, with elements affixed inside of them that may serve to show their personality. The titles, forms, and colors may offer clues to deduce why the dragon head and hunting trophy have been deconstructed, whether the magic wand conveys hope or defense, or why Jedori is building a nest. Hannah Woo refers to herself as “someone with a world view that believes in fairies.” For her, the process of sculpture is one of taking the object as guardian spirit, capturing hopes and expectations with a repulsive force of sorts.
With her first solo exhibition City Units (held in 2016 at her studio Chokchok Tumyeonggak in Seoul’s Euljiro neighborhood), the artist showed a script for splaying out images within the city. Held only between the hours of 7 and 11 p.m., the exhibition included not only the studio’s interior but also the rooftop and its outdoor connection as a viewing position; the Euljiro landscape was incorporated as part of the exhibition space. Using a flashlight to locate and interpret limp plastic shapes installed on neighboring buildings, the artists revealed things that survive that urban phantoms. If this first solo exhibition created an attempt to develop the whole of a given space into the scene from an overall skit, then the 2017 installations A grabbing object and The simple ceremony at the Asia Culture Center’s Lotus Land share a connection with Swinging in their artistic deconstruction and reassembly of the meaning of objects. Regarding objects such as the bouquets or torch in ceremonies like a wedding, graduation, or torch relay as devices adding to the drama of the situation, the artist created situations where the proper function of the objects bearing these characteristics became distorted or spoiled. Carried over from the preceding two works is the artist’s interest in individuals within a multitude. In terms of the differences among individuals that are all too easily subsumed into modern urban life, her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ways of artistically expressing these individuals’ different voices and utterances. The ghostly forms in City Units are really the city’s protagonists. Where the artist previously used an approach that allow buried things to rise up within the darkness, Swinging sees her assembling dozens of parade participants one by one, designing their characteristic colors and forms so that each one reveals a unique message. Resistance against all barriers, an active agent’s willingness to wield a stick against its object, the desire for change—it is not too difficult for us to project our own voice into at least one of the figures standing here.
By Haeju Kim
모든 휘두를 수 있는 사물을 모아보자. 손 안에 잘 감기는 야구방망이는, 그 유선형의 모양만 보아도 타자의 타격 자세와 함께 공이 딱하고 맞아 담장으로 넘어가는 경쾌한 소리가 연상된다. 학창시절 복도 끝에 뒤집어 말려 놓은 대걸레를 보면서 머리카락을 늘어뜨린 사람 같다는 생각은 누구나 한 번쯤 해보지 않았을까? 만화 주인공이 변신할 때 사용하는 요술봉이나, 고대 왕의 검처럼 신묘한 힘을 만드는 막대기도 떠오르고, 향을 피운 향로를 뒤따라가는 신자들과 그들의 맨 앞에서 십자가를 들고 걷는 사제의 모습을 생각해 본다. 그리고 깃발들, 한동안 그 어느 때보다 맹렬히 흔들리던 깃발과 이제 출동을 기다리고 있는 이 시즌의 새로운 깃발을 생각하고, 깃발을 위아래로 흔들며 앞으로 걸어가는 시위대의 움직임을 생각한다. 이 모든 막대를 휘두르는 소리와 이를 둘러싼 소란과 구호와 경적과 에너지가 합쳐져 들썩들썩 리듬을 이룬다. 스윙!
전시 <스윙잉>은 막대 형태의 각종 사물로부터 출발하여 그 사물에서 연상되는 이야기를 천과 클레이를 비롯한 여러 재료를 붙여 각각을 일종의 캐릭터들로 만든 조각들로 구성된 설치이다. 일상적인 사물의 기능으로부터 연상되는 행위와 그 의미를 조합하여 개별적 조각을 만들고, 그 조각의 묶음을 통해 전시 전체를 사건과 운동이 일어나는 극적인 공간으로 구축한다. 여기에는 ‘운동’이라는 단어가 가진 두 가지 의미가 모두 사용된다. 첫째 물리적인 움직임으로서 물체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공간적 위치를 바꾸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실제의 움직임이 보이기보다는 사물이 가진 기능에 기반하여 그것이 연상시키는 움직임의 가능성을 바라보길 유도한다. 다시 말해 어떤 사물이 전시장 안에서 움직이거나 흔들리고 있지는 않다고 하더라도 그 조합의 방식이나 놓인 형태 그리고 기본 기능과의 유추, 연상에 의해 그 사물을 움직이는 상태 또는 막 움직이려는 상태로서 바라보게 된다는 것이다. 운동의 두 번째 의미는 ‘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힘쓰는 일이나 활동’이다. 즉, 의사를 표출함으로써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공동의 행동이다. “운동성은 무언가를 변화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출발점이 된다. 모두 변형되고 왜곡되었지만 부지런히 움직이며, 저마다의 방향으로 반복해서 나아가는 상황을 보여주고 싶다”는 작가 노트의 언급처럼 개별 작업은 각자의 ‘스윙’을 갖고 있으면서도 하나의 군집으로서 다 함께 춤을 춘다. 무언가 말하고, 또 바꾸기 위해.
스윙은 또한 ‘스윙 재즈’와 연결된다. 1930-40년대 뉴욕을 중심으로 성행한 연주 스타일 중 하나인 스윙 재즈는 밝고 신나는 댄스 음악이다. 음악 그 자체가 정박자보다 약간 늦게 또는 빠르게 움직이면서 리듬감을 만들어내고 춤을 유도한다. 하지만 밝고 즐거운 스윙음악이 유행하던 시기는 동시에 역사적으로는 암울한 시기이기도 했다. 1930년대 독일에서 스윙 재즈를 좋아하던 십대 소년들은 ‘스윙 키즈’라 불렸다. 당시 나치 정부에 의해 퇴폐와 부도덕함으로 낙인 찍혔던 스윙은 청년들에게는 사회 억압으로부터 탈출구였고, 반항의 상징이 되었다. 때로 스윙 키즈들은 적국의 음악을 좋아한다는 것을 빌미로 반나치 조직에 대한 원조, 방조 혐의 같은 죄목이 붙어 중형에 처해지기도 했다. 밝은 음악 이면에 있는 어두움과 그 에너지를 차용한 반발력 등을 드러내는 스윙키즈의 일화는 전시가 추구하는 운동성의 두 가지 의미를 충족하는 참조점이다.
개별 사물의 운동성을 변화를 위한 공동의 움직임으로 변환시켜주는 요소는 집합 대열과 퍼레이드이다. 전시장에 놓인 작업의 기본적인 안무는 모두 같은 방향으로 향해가고 있는 하나의 퍼레이드이다. 이들은 어딘가로 쏟아져 나가려는 상태로 대열의 방향을 잡고 에너지를 응축하고 있다. 행진의 대열은 크게 세 개의 섹션으로 나뉘는데 첫 번째 섹션은 제일 선두에 서는 피오닐(Pioneer)과 붉은 십자가 모양의 좌심방, 지구본 형태가 가운데에 자리한 우심방 그리고 그 양쪽을 브이(V) 자 형태로 도열한 열 한 마리 기러기 편대로 구성된다. 피오닐은 이 행진의 선구자이고, 좌심방, 우심방은 이 행진의 동력과 생명력을 부여하는 엔진이다. 열 한 마리의 기러기들은 편대로 대열을 만들어 행진의 가장자리에서 행진을 수호하는 동시에 진행 방향을 가리키고, 길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기러기 편대는 기본적으로 우산꽂이와 긴 막대의 조합인데, 각각을 장식하는 요소와 색깔은 모두 다르며, 이를 통해 각기 다른 성격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대열의 중심은 빅밴드가 차지한다. 보통 스윙 재즈를 연주하는 10인 이상의 오케스트라를 지칭하는 이름으로 전시와 스윙 음악과의 연결성을 강조한다. 여기서는 스윙 곡을 연주하는 악기들 중, 특히 빅밴드의 주요 악기인 브라스, 드럼, 비올라, 더블베이스 등을 표현한 사물이 포함되고 이는 전시장에 들리는 스윙 음악(박다함 작곡)과도 연동된다. 한편 빅밴드를 구성하는 바퀴가 달린 철제의 프레임은 행렬의 중심인 마차의 형태인데 그 색채는 언뜻 상여를 떠올리게도 한다. 마지막 섹션은 곳곳에 흩어져 배치된 작업으로 이들은 주로 행진의 구체적인 이유, 즉 개별 캐릭터가 세상에 대해 개선을 요구하는 것들에 대한 메시지가 반영되어 있다. 그리고 이 모든 행진 대열의 방향에 맞서 굳게 닫힌 문을 엑스자로 막고 있는 두 개의 막대가 강력한 금지의 표지를 날린다. 과연 행진의 대열이 무사히 이를 뚫고 밖으로 나갈 수 있을지, 긴장의 순간을 형성한다.
막대 모양의 사물로부터 출발했다는 공통점을 넘어 이 모든 작업을 관통하는 것은 형태적 특징 중 하나는 파스텔 톤을 주조로 하는 색깔이다. 특히 클레이를 이용한 부드럽고 달콤한 느낌의 색상이 사용되는데, 이것이 덩어리로 얽히고 뭉쳐 서로 이질적인 재료들과 조합되면서 때로 기괴한 형태를 만든다. 색의 부드러움과 형태의 기괴함이라는 대조는 대상에 대한 묘한 거리감을 형성하면서 관습적 의미 해석에서 벗어나게 한다. 또한 꽃, 리본과 같은 사물, 그리고 바느질과 땋기와 같은 수공의 방식이 사용되는데 반죽과 접합의 손 맛이 자유분방하고 제 멋대로인 형태를 만든다. 캔디컬러의 악몽 같은 색과 형태의 조합은 사용된 사물과 재료에서 흔히 연상하게 되는 여성성에 대한 관습적인 코드를 전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무엇을 위한 행렬인가?의 힌트는 개별 조각의 메세지를 통해 유추해 볼 수 있다. 일상 사물로서의 코드가 작업의 색채와 재료, 형태를 통해 어떻게 뒤집혀져 있는가를 살펴보는 형식으로서 말이다. 일종의 인격 혹은 생명이 부여되어 있는 각각의 사물은 특정한 캐릭터를 담당하고 있으며, 그 캐릭터의 성격을 드러낼 수 있는 요소가 사물 안에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용머리와 헌팅 트로피를 어떻게 해체했는지, 마술 지팡이에 담긴 것이 소망인지 방어인지, 제돌이는 왜 둥지를 틀고 있는지, 제목, 형태과 색채를 단서 삼아 이런저런 추론이 가능하다. 우한나는 스스로가 “요정을 믿는 세계관을 가진 사람”이라 말한다. 그에게 조각의 과정은 사물을 수호신 삼아 기대와 소망을 일종의 반발력과 함께 담아 보내는 것이다.
작가는 2016년 자신의 작업실인 을지로의 ‘촉촉투명각’에서 열었던 첫 번째 개인전 <City Units>에서 도시 안에 이미지를 펼쳐 놓는 시나리오를 펼쳐 보인 바 있다. 저녁 7시부터 11시까지만 열렸던 이 전시는 작업실 내부 공간뿐 아니라 야외로 연결된 옥상까지 관람의 지점으로 사용하고 을지로 풍경을 전시의 공간으로 수용했다. 이웃한 건물들에 비닐로 설치한 흐물거리는 형체들을 손전등으로 찾아 읽으면서 도시의 유령처럼 잔존하는 것들을 드러냈다. 이처럼 주어진 공간 전체를 총체적인 상황극의 장면으로 구성하는 시도를 이미 첫 번째 개인전에서 만들었다면, 2017년의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로터스랜드에 설치한 <A grabbing object>, <The simple ceremony>에서는 사물이 가진 의미를 조형적으로 해체, 재조합한다는 지점에서 <스윙잉>과 연결된다. 당시 작가는 결혼식, 졸업식, 성화봉송 등에서 사용되는 부케, 성화 등의 오브제가 그 의식의 상황을 더 극적으로 만드는 장치라고 여기며 그러한 특성을 가진 사물이 가진 고유한 기능이 왜곡되거나 망가지는 상황을 연출했다. 앞선 두 작업에서부터, 작가는 다중 안의 개인에 관해 관심을 가져왔다. 현대 도시의 일상에서 쉽게 묻혀버리는 각각의 개인들의 다름에 대해, 그들의 다른 목소리와 발화의 메세지를 조형적으로 표출하는 방식에 관해 관심을 두어 왔다. <시티 유닛츠> 속 유령 같은 형상들은 실제는 도시의 주인공이다. 이들이 어둠 안에 묻혀있는 것을 떠오르게 하는 방식을 사용했다면, <스윙잉>에서는 수십 개의 행렬을 일일이 만들고 각각의 특징적인 색채와 형태를 구성해 모두 자신만의 메시지를 드러내도록 한다. 모든 벽에 대한 저항, 대상을 향해 막대를 휘두를 수 있는 능동적 행위에의 의지, 변화에의 소망. 이곳에 서 있는 인물 중 최소한 어느 하나에 나의 목소리를 대입해 보기란 어렵지 않다.
글: 김해주